삼성전자 주식 다들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사랑하고 많이 보유한 주식인 삼성전자. 삼성전자에 대해 알지도 못하고 투자를 하면 안 됩니다. 적어도 삼성전자의 주주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몇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삼성전자란?
2. 삼성전자의 주인은 누구인가?
3. 삼성전자의 사업 부문
4. 삼성전자의 성장성
5. 삼성전자의 리스크
삼성전자란?
삼성전자 회사는 한국의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고, 현재 1주 당 가격이 60,900 원, 시가 총액은 363조 5,598억 원입니다. 삼성전자는 코스피 기업 중 시가 총액 1위이며, 이는 시가 총액 2위인 lg 에너지 솔루션에 약 3배의 규모로 독보적 1위입니다. 국내외적으로 삼성전자의 위상은 엄청나며, 특히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망하면 대한민국이 망한다고 할 정도의 파급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인은 누구인가?
삼성전자의 주주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주주 현황을 보면 이재용 부회장은 지분 1.63%로 삼성전자의 최대주주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최대 주주는 삼성생명보험인데요. 하지만 결국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최대 주주입니다. 이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는 지주 회사가 없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복잡한 지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로 지분율 약 18%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삼성물산은 삼성생명의 최대 주주이고, 지분율은 약 20%입니다. 위의 표에서 보듯 삼성전자의 최대주주는 삼성생명이고 지분율은 약 8.5%입니다.
결국 삼성물산의 최대주주가 이재용 부회장이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지분 1.6%만으로도 삼성전자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고, 삼성전자를 지배할 수 있게 되는 구조입니다. 단순히 자본으로 보면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전자의 주인임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전체 비중으로 보면 삼성전자는 외국인 투자자의 비율이 50%가 약간 안 되는 49%입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주가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뉴스를 보다 보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삼성전자 매매 관련 기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사업 부문
그렇다면 도대체 삼성전자는 무엇으로 돈을 버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부문별 주요 제품]
부문 | 주요 제품 | |
CE 부문 |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 |
IM 부문 |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 | |
DS 부문 | 반도체 사업 | DRAM, NAND Flash, 모바일 AP 등 |
DP 사업 | 스마트폰용 OLED 패널, TV및 모니터용 LCD 패널 등 | |
Harman 부문 | 디지털 콕핏, 텔레매틱스, 스피커 등 |
가장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사업 분야는 당연히 스마트폰과 반도체입니다. 실제로 전체 매출액에서 스마트폰이 약 45%, 반도체 사업이 약 30%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많이 팔릴수록 삼성전자가 돈을 많이 벌고 있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삼성전자의 성장성
삼성전자 주주로서 우리는 어떤 미래를 생각해야 할까요? 가장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스마트폰 사업과 반도체 부문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기대가 되는 것은 폴더블 폰 시장입니다. 폴더블 폰 시장은 2023년 기준으로 약 10배 정도 성장이 예측되는데, 삼성전자가 약 7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도체 사업 분야에서 기대가 되는 부분을 살펴보려면 삼성전자가 어떤 반도체 분야에서 강점이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종류 | 내용 | |
메모리 반도체 | DRAM | 임시 저장 장치로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주력제품 |
NAND | 영구 저장 장치로서 SSD, USB 등에 사용 | |
비메모리 반도체 | 시스템 반도체 | 계산 목적의 반도체로서 CPU, GPU, AP, DDI 등 |
광소자 반도체 | 이미지센서, LED |
DRAM이 삼성전자의 주력 상품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부분에서 삼성전자는 1위를 했었습니다.
그렇다고 시스템 반도체 부분은 하지 않고 있느냐 하면 그것 또한 아닙니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세계 1위를 목표로 하겠다고 공식 발표를 했었고, 현재 열심히 투자 중에 있습니다.
종합 반도체(IDM) | 설계, 제조 |
파운드리(Foundry) | 제조 전문 |
팹리스(Fabless) | 설계 전문 |
반도체 분야는 위의 표에서 보듯 3가지로 나뉩니다. 삼성전자는 종합 반도체 기업인데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 80~90% 집중되어 있고, 파운드리 부문은 점유율이 조금 낮은 편에 속합니다.
삼성전자의 리스크
-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의 하락
작년 샤오미가 삼성을 제치고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기록이 있습니다. 앞으로 삼성전자가 어떻게 스마트폰 시장을 확장시켜나갈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반도체 자립 열풍
삼성전자의 고객들이 반도체 칩을 직접 만들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고객인 구글과 애플이 반도체 칩을 직접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만 구글과 애플이 직접 설계해서 개발하더라도 아직 파운드리 공장은 없습니다. 그래서 결국 삼성전자에게 위탁 생산을 맡길 수 있다는 점에서 아직까지는 괜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삼성전자 주주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전자, 과연 10만 전자까지 갈 수 있을까? (3) | 2022.08.23 |
---|---|
환율과 경제의 관계, 환율 기초 이해하기(환율과 경제, 환율과 주식) (0) | 2022.08.21 |
배당금 높은 주식, 과연 무조건 좋다고 봐야할까?? (0) | 2022.08.18 |
배당에 대한 모든것들(배당금,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배당성향) (0) | 2022.08.18 |
워렌버핏 포트폴리오 확인법, 13F 공시 확인하기 (0) | 2022.08.15 |
댓글